요즘 가상화폐시장이 아주 뜨거운데요.
일명 코인판이라고 하죠.
많이들 코인에 투자는 하고 계시지만
그 코인들이 왜 유망한지 또는 왜 유명해졌는지는
잘 모르시고 아몰랑 투자를 많이 하고 계신듯하여
이 코인판에서 유명한 비트코인 외 알트코인들의
성격 및 특징 그리고 전망을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페이코인 앱을 추천하셨습니다! 앱 가입 시 리워드코드만 입력하시면 다양한 가맹점에서 바로 사용하실 수 있는 2PCI 혜택을 드립니다! 친구와 함께 페이코인의 즐거운 혜택을 받아가세요! 리워드코드: L96TKQK 매일 출석체크 룰렛 돌리고 PCI 적립부터 다양한 경품까지 득템하자♥ https://web.payprotocol.io/install/share
PayProtocol
페이프로토콜 서비스 다운로드
web.payprotocol.io
가상(암호)화폐 시총 순위
1위는 가상화폐의 시조인 비트코인입니다.
2위는 급부상한 리플.
3위는 이더리움.
4위는 비트코인캐시
5위는 라이트코인.
6위는 에이다.
7위는 아이오타
8위는 뉴이코노미무브먼트
9위는 대시
10위는 스텔라루멘
코인 이해하기
독보적인 1위 비트코인
최초로 구현된 가상화폐로 발행 및 유통을 관리하는
중앙권력이나 중간상인 없이, P2P 네트워크 기술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사용자들이 주체적으로 화폐를 발행하고
이체 내용을 공동으로 관리하며
이를 가능하게 한 블록체인 기술을 처음으로 도입한 코인입니다.
비트 코인은 블록발행보상을 채굴자에게 지급하는 방식으로
신규 코인을 발행합니다. 블록발행보상은 매 21만 블록을 기준으로
발행량이 절반으로 줄어듭니다. 코인 총량이 2100만개에 도달하면
신규 발행은 중단되고 이후에는 거래 수수료만을 통해 시스템이 운영됩니다.
비트코인의 핵심가치는 통화로 사용될 수 있는 보편성 및 편의성 입니다.
급부상한 차세대 주자 리플
리플코인은 금융 거래를 위한 인터넷 프로토콜인 ' 리플 프로토콜'에서
사용되는 디지털 자산이자 기초 화폐입니다.
이 코인을 매개로 전 세계의 화폐를 몇 초 내로 송금할 수 있어
혁신적인 실시간 통화 거래가 가능합니다.
특히 국제 결제 시스템망(SWIFT)을 대체할 새로운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어 앞으로가 더 기대되는 코인입니다.
리플의 시스템은 한정된 참여자만 분산 네트워크를 구성한다는
의미에서 프라이빗 블록체인(private blockchain)이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리플은 주로 은행 간 이체서비스에 집중하여 진행 중이며,
리플 네트워크에는 미쓰미시 도쿄UFJ은행, 스웨덴SEB,
중동의 아부다비 국립은행과 인도 Axis은행을 비롯한 세계 주요 금융권
75개가 참여하고 있습니다.
리플은 인플레이션이 없습니다. 초기에 총 1천억개 발행되었고
이제 더 추가로 생성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리플의 핵심가치는 저렴한 비용의 신속한 국제 결제 서비스 입니다.
전 세계 어디든 거래당 4초가 걸리며 즉각적인 정산이 가능합니다.
플랫폼 가상화폐 이더리움
이더리움은 블록체인에 기초해 다양한 앱 개발을 지원하는 플랫폼이며,
여기서 사용되는 가상화폐이기도 합니다.
이더리움은 블록체인을 활용한 모든 것을 프로그래밍할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
플랫폼은 프로그램된 계약을 정확히 실행하도록 설계된 스마트 컨트랙트를 기반으로 운영됩니다.
또한 이더리움은 플랫폼에서 이용되는 가상 화폐로 사용되며 DAPP를 만드는 개발자들과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할때 사용됩니다.
스마트 컨트랙트: 컴퓨터 언어인 실행 코드로 작성되기 때문에, 특정 조건이 달성되면 자동으로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계약이 이행됩니다. 강제로 계약이 이행되므로 상대를 신뢰할 수 없는 경우에서 강력한 힘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시스템 오류, 사기, 제3자의 간섭 가능성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DAPP을 통한 이더리움 플랫폼의 확장성: 이더리움의 경우, 화폐 자체보다 네트워크 플랫폼이 더 큰 의미가 있습니다. 분산화된 DAPP과 스마트 컨트랙트, 그리고 사물 인터넷(IoT)을 접목한 기술은 향후 인간의 개입을 완전히 배제한 기계 간 금융거래도 까지도 가능하게 할 것이라고 합니다. 100개가 넘는 코인들이 이더리움 플랫폼 위에서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볼 때, 이것의 확장성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비트코인 하드포크 비트코인캐시
하드포크란 인위적으로 블록체인을 분절하는 작업을 의미하며, 비트코인캐시의 하드포크는 2017년 8월 1일에 시행되었습니다. 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있던 사용자들은 같은 양의 비트코인캐시를 추가로 받았으며, 이 방식으로 기존 비트코인의 채굴량만큼 배포되었습니다.
2016개의 블록마다 난이도를 조정하는 비트코인과 달리, 비트코인캐시는 6개의 블록마다 난이도를 조정합니다. 하드포크될 당시 비트코인의 높은 난도를 그대로 가져왔는데, 비트코인과 달리 해쉬파워가 많지 않아 블록 생성에 긴 시간이 소요되었습니다. 현재 이는 조정 중이고, 평균 10분을 맞추기 위해 노력 중이라고 합니다.
비트코인이 금이라면 은이 되어라 라이트코인
라이트 코인은 비트코인에 기초해 만들어진 가상화폐로, 기술적인 면에서 비트코인과 거의 동일한 알고리즘을 사용했기 때문에 사실상 비트코인의 파생 화폐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비트코인의 단점을 보완하고 좀 더 나은 가상화폐가 되는 것이 라이트 코인의 목표라고 합니다. 일례로, 비트코인에 앞서 세그윗을 2017년에 이미 실행했을 뿐만 아니라, 이를 기반으로 라이트닝 네트워크도 개발 중입니다.
세그윗이란 프로토콜의 서명 부분을 개선함으로써, 블록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아도 4MB로 확장된 것과 같은 효과를 내는 기술입니다. 라이트코인은 거래량이 늘어나면 구조적으로 제기될 수밖에 없는 스케일링 문제가 제기되기도 전에 이미 해결한 상태입니다. 또한, 신기술들의 개발을 촉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세그윗의 빠른 실행은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라이트 코인은 코인 생성 주기를 10분에서 2.5분으로 줄여서, 비트코인 보다 약 4배 정도 빠른 거래가 이뤄집니다. 더 나아가, 세그윗을 바탕으로 실행될 수 있는 라이트닝 네트워크를 개발하고 있는데, 이것이 완성되어 도입된다면 현재보다 100만 배 정도 거래 속도를 올릴 수 있다고 합니다.
3세대 블록체인 가상화폐 에이다
에이다는 금융,다양한 분야에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블록체인 응용 플랫폼이자 하스켈 프로그래밍 언어로 구축된 최초의 블록체인으로 3세대 블록체인 가상화폐입니다.
1세대 블록체인인 비트코인은 화폐로서 기능에만 충실한 코인이며, 여기에 계약서 작성 등의 추가적인 기능을 더한 것이 2세대인 이더리움입니다. 에이다는 여기서 한 발 더 나아가 헌법을 정하여 해당 틀 안에서 변화를 인정하는 수단을 가능케했습니다.
차세대 블록체인 아이오타 (MIOTA)
아이오타는 사물인터넷에 관련된 코인으로 독일 비영리 법인으로 출발하였습니다.
IOTA의 목적은 차량 시스템이며 ITIC와 협력하여 테스트 진행중입니다.
1월중으로 IOTA 네트워크를 통해 차량과 충전소가있는 곳에 스마트 충전 인프라를
구축 할 예정입니다.
* 번역의 오류로 잘못된 정보를 전달하지 않기 위해 원문을 첨부합니다.
Powering the future of Mobility
Testbeds enable the incubation of cutting-edge technology, so that we can work on rapidly innovating and further iterating it to reach a production-ready stage. We need to ensure that the future of Mobility, and the Internet of Things is Secure, Safe, and fully Autonomous.
The ITIC is a non-profit foundation which specializes in developing open and close autonomous vehicle testbeds globally. Through such a global network of testbeds, we can enable faster acceleration of the technology that is supposed to power the mobility of tomorrow. With IOTA, we want to be one of the technologies that will also be tested and further integrated into these autonomous vehicle testbeds.
With the partnership with ITIC, we aim at simulating certain applications and business models, to determine their feasibility out and further improve upon the concepts. A recent example of our work in this area is the Smart Mobility Simulator, that will go live in January and make it possible to setup a smart charging infrastructure, with vehicles and charging stations interacting with each other through the IOTA network.
Doing similar work, just with a specific focus on autonomous vehicles makes it possible for us to more closely in real-life testing environments where the future technology of our mobility network is being tested at. Integrating IOTA into the vehicle is our ultimate goal after all. ITIC will also collaborate with IOTA on the Data Marketplace for sharing and selling testbed data. A previous example of some of the work that we’ve done together with ITIC and NetObjex is on dynamic inductive charging for electric vehicles.
Something else that’s very exciting: the ITIC, and specifically Joachim Taiber, will be working more closely with us on the Ecosystem Fund of IOTA. We will come up with a structure to help fund the future ecosystem of smart mobility applications and infrastructure.
We’ll release more details along the way.
-------------------- 수정 추가중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평 아난티 코드 펜트하우스 서울 (무라타 하우스 숙박) (1) | 2021.11.14 |
---|---|
암호화폐의 미래는?? (2) | 2018.02.06 |
포항 지진 (0) | 2017.11.15 |
2017한국 관상어 산업 박람회 (0) | 2017.09.07 |
현대 모터 스튜디오 고양 입장료 (1) | 2017.08.23 |